yoongrammer
git CRLF 개행 문자 차이 해결하기 본문
728x90
운영체제마다 에디터에서 새로운 줄 바꿈을 할 때 들어가는 문자열이 달라지게 됩니다.
Windows
같은 경우는 carriage-return(\r)
과 line feed(\n)
가 같이 들어가는 반면에
MacOS
에서는 line feed(\n)
만 들어가게 됩니다.
windows
text\r\n
mac
text\n
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git repository를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쓰는 경우에 내가 수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
줄 바꿈 문자가 달라져서 git history
나 blame
을 볼 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이것을 수정할 수 있는 속성이 autocrlf
설정입니다.
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autocrlf
를 설정해 줍니다.
Windows
$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
MacOS
$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input

Windows
에서 ture
로 설정하게 되면 git에 저장하게 될때는 carriage-return
을 지워주고 git에서 받아올 때는 자동으로 carriage-return
을 붙여줍니다.
MacOS
에서는 input
으로 설정을 하면 git에서 받아올때는 별다른 수정을 하지 않지만 저장할 때는 carrage-return
을 지워줍니다.
MacOS에서는 carriage-return이 붙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처리해주는 이유는 맥에서 이메일을 받아온 텍스트를 복사해서 붙여 넣을 때 실수로 carriage-return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.
728x90
'VCS (Version Control System)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Meld, p4merge 사용하기 (0) | 2020.11.30 |
---|---|
git diff 사용하기 (0) | 2020.11.29 |
git 디버깅 하기 (blame, bisect) (0) | 2020.11.21 |
git rebase 와 cherry-pick 알아보기 (0) | 2020.11.20 |
git remote 저장소 (0) | 2020.11.19 |